[re] 생각난김에 하나더 ^^;;
포장에 신경쓰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박하 재배기술 자료입니다.
박하는 해묵이의 다년생식물이기 때문에 한번 심으면 같은 밭에서 몇 년간 계속 생산할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이어짓기를 하면 뿌리의 노화로 말미암아 수량성이 떨어지게 되므로 심는 해로부터 3년마다 씨뿌리를 다시 갱신하여 심어야 한다.
(1) 생육환경
㉠ 기상
박하는 예부터 환경에 영향을 많이 받는 작물로 알려져 왔는데 비는 1회량은 많더라도 내리는 횟수는 적은 것이 좋고 특히 수확기에는 비가 적은 것이 좋다.
햇볕이 적으면 박하뇌 함량이 적고 수확기에 비가 많으면 기름나는 양이 크게 줄어들 뿐만 아니라 녹병이 많이 발생하면 수량감소가 크다.
온도는 박하생육에 크게 영향을 주는데 저온지역에서는 연1회밖에 수확할 수 없게 되고, 박육적온은 25~30℃로 35℃가 넘으면 생육에 지장을 초래하며, 토양수분만 유지된다면 고온 건조한 기상이 유리하다.
우리나라 남부지방의 기상은 박하재배에 가장 적합하나 수확 직전 바람이 심하게 불거나 비로 인해서 넘어지며 이때 기계적인 손상을 받아서 잎이 떨어지는데 잎에 박하유의 대부분이 존재하므로 낙엽이 되지 않도록 해주어야 한다.
㉡ 토양
박하는 자갈밭, 모래땅, 진흙에서는 좋지 않으나 그외 질참흙, 참흙, 모래참흙에서는 잘 자란다. 척박지보다는 유기물이 많으며, 비옥한 곳으로 흙살이 깊고 물빠짐이 좋아야 한다. 물빠짐이 나쁜 곳에서는 땅속줄기의 발육이 나쁘고 생육도 저조하다.
산성땅은 박하 생육에 적당치 않으므로 퇴비, 석회 등을 보충해 주어야 하며 생육에 적합한 토양산도는 pH6.0~6.5범위가 된다.
(2) 번식
박하의 번식방법으로는 뿌리나누기법, 꺾꽂이법, 휘묻이법, 씨앗번식법 등이 있는데 이중에서 꺾꽃이법이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나 농가에서는 뿌리나누기법을 많이 이용하고 있다.
㉠ 꺽꽂이법
빠른 기간내 대량증식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1차 수확기 직전 줄기를 3~4마디씩 잘라 상단 2마디를 땅위에 나오도록 꺾꽂이하고 뿌리가 내려서 활착될 때까지 적당한 습기를 유지시켜 주면 2주일 후에는 뿌리가 내린다.
본밭에 직접 꺾꽂이할 때는 스프링쿨러 시설이 없으면 적당한 습기유지가 곤란하므로 장마철을 이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경유에 따라서는 모판을 만들어 꺾꽂이 하는데 모판은 모래 2, 밭흙 2, 퇴비가루 1의 용량비로 섞어 모판을 만들고 꺾꽂이 한 후 적당한 습기를 유지해 주면 대부분이 뿌리를 내린다.
㉡ 뿌리나누기법
봄에 땅속줄기를 채취하여 묵은 것, 부패한 것, 상처 입은 것 등을 빼고 충실한 것만을 골라 10~15㎝정도로 잘라서 본밭에 바로 심는 방법이다. 보통 10a당 씨뿌리의 소요량은 60~80㎏이며 씨뿌리의 생산은 심은 후 2~3년된 밭에서 10a당 350~450㎏ 이다. 심는 방법 및 관리법은 꺾꽂이법에 준하면 된다.
>박하 잎을 따서 개미주위에 놓아봤더니 상당히 싫어하네요 ^^; 효과는 있는것 같네요..
>조금 시들어서 왔는데 괜찮을것 같구요..
>뿌리로 번식하나요? 땅속줄기로 흰색에 굵은게 있는데...
>그걸로 번식하죠?
>ㅎㅎ 잘키울게요~
>근데 포장을 조금만 더 신경써 주세요 ^^ 신문지로만 감싸지 말고 신문지 감싼후에 또 골판지로 감아주면 좋을것 같아요.
>그리고 세워서 해주시구요..
>배송받을때 다 누워있어서 조금 눌리더군요.
>아무튼 잘 키우겠습니다.
>그리고 벌레가 조금씩 나오더만;;
>음..
>그리공 박하 농약 안친거죠?
>박하는 식용으로 쓸수 있잖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