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꽃 : 11월 28일의 탄생화 - 나무사랑원예 나무사랑원예

Birthday flowers & Flower meanings
홈 > 쇼핑몰 > 탄생화 & 꽃말 > 11월
탄생화 & 꽃말

과꽃

11월 28일의 탄생화


학명&외국명 : Callistephus chinensis (L.) Nees (영) China Aster, Annual Aster (이명) 취국, 당국화, 벽남국 (중) 翠菊[취국]
과명 : 국화과
꽃말 : 추상
성격 : 기쁘건 슬프건 생각나는 것은 그리운 친구의 얼굴들. 그런 추억에 빠지기 쉬운 당신은 정(情)의 화신과 같은 사람입니다. 그런 당신은 우아한 태도를 잃지 안습니다. 하지만 미래에도 좀 눈길을 주세요. 앞으로도 좀더 멋진 추억을 많이 만들어 가세요. 당신을 가만히 응시하고 있는 사람이 보이지 않습니까?

형태/분포

일년초 (원산지 : 한국(북부), 만주 동남부 지방)

음양구분

양지

내한성

-

크기

30~100cm내외로 자란다.

7-9월에 피며 두화는 지름 6~8cm로 긴 꽃자루 끝에 1개씩 달린다. 꽃의 색상은 흰색·보라색·빨간색· 분홍색·자주색·노란색, 여러 가지 빛깔이 섞인 색 등 다양하다. 총포는 녹색으로 반구형이며 길이 1.5~2cm, 폭 3.5~4.5cm이고 밑부분의 엽상포는 총포편과 비슷하며 포편은 3줄로 배열되고 외편은 긴 타원상 피침형이며 끝이 둔하고 긴 연모가 있다.  열매는 수과로 납작한 바소꼴의 긴 타원형이며 줄이 있고 윗부분에 털이 있다.

아랫 잎은 꽃이 필 때 없어지며 중앙부의 잎은 난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길이 5~6cm, 폭 3~5cm정도로 거친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7~8cm로 주걱모양의 좁은 날개가 있다. 잎, 줄기에 털이 있다.

식재본수

 30~40포트/㎡

생육환경

배수가 잘되고 약간의 석회질이 있는 알카리성의 양토에서 잘 자란다.
양성식물로 섭씨 10~25에서 잘 자라고 최적 발아온도는 섭씨 15~20이다.

번식

종자 번식

재배특성

 단일기에는 야간온도가 10℃ 정도가 적합하여 이보다 높으면 개화가 지연됨은 물론 웃자라고 잎수가 증가하며 꽃은 크기가 작아지고 꽃수가 많아져 상품가치가 떨어지게 된다. 한편 장일기에는 꽃눈분화에 대한 온도의 영향이 크지 않다. 야간온도가 10℃ 이하일 때 단일상태에 놓이게 되면 로제트 상태로 되어 개화되지 않는다.  과꽃은 일장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꽃눈분화는 장일에서 촉진되고 꽃눈분화 후에는 단일이 개화에 촉진적으로 작용한다. 일장은 꽃눈분화까지는 14~15시간 이상이, 꽃눈분화 후부터는 14~15시간 이하가 좋다.
토양은 배수가 잘되는 사질양토 또는 양토가 좋으며 유기물이 풍부하고 작토층이 깊은 곳이 좋다. 연작하게 되면 입고병이 많이 발생하게 되므로 매년 새로운 토양에서 재배하여야 한다. 돌려짓기는 5~6년 정도의 주기로 하되 입고병 방제를 위해 토양소독을 철저히 해야 한다. 적정 토양산도는 6~7이므로 산성토양은 교정이 필요하다.  파종상은 파종전에 토양소독을 한다. 하우스내에서는 턴넬을 만들고 육묘한다. 용토를 잘 고른후 90㎝정도의 상자를 만들어 파종한다. 종자는 10㎖당 2,000립 정도로 이식재배의 경우 보통 10a당 150㎖가 소요된다.  과꽃종자의 수명은 1~2년이며, 오래된 종자는 발아가 불량하므로 새종자를 이용한다. 입고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종자소독을 해야 한다. 종자소독은 벤레이트 1,000배액에 30분간 침지한다. 복토는 짚 등으로 얕게 해 주면 온도가 낮은 시기에는 비닐로 덮어 준다. 발아적온은 15~20℃로 온도가 적당하면 파종후 1주일이면 발아한다. 발아후에는 비닐을 바로 벗겨주고 묘를 3×3㎝간격이 되도록 하며 본잎이 3매정도 출현하면 6×6㎝로 조절해 준다. 야간에는 보온에 주의해야 하며 주간에 25℃의 유지를 위해 환기를 철저히 한다. 직파는 4월 하순경에 하는데 종자량은 10a 230~300㎖정도가 소요되며 3~4립씩 점뿌림한다.

(1) 무가온재배
   1월에 파종하여 6~7월에 출하하는 작형이다. 파종후 생육초기가 저온단일기로 유묘기가 충분해야 건실한 절화생산이 가능하다. 조기출하를 위하여 본잎이 10매 전후가 되었을 때부터 전조하는 것이 좋다. 전조는 광중단 방법을 많이 이용하고 있는데 이것은 야간에 암기를 3시간정도 차단시키는 것으로 처리기간은 60일 정도가 적합하다.

(2) 육묘 노지재배
   3월에 파종하여 4월에 정식하고 7~8월에 출하하는 작형이다. 생육초기가 저온이기 때문에 하우스내에 파종하여 육묘한다. 꽃눈발 달기가 초여름으로 장일조건이기 때문에 개화에 유리하게 작용하며 온도도 높은 시기이기 때문에 개화가 그다지 억제되지 않는다. 따라서 과꽃재배에 비교적 적합한 작형으로 볼 수 있다.

(3) 직파 노지재배
   과꽃의 발아적온이 되는 5월에 노지에 파종하여 8~9월에 출하하는 작형이다. 생육초기가 어느정도 단일조건이고 생육중기 및 꽃눈 분화시에 고온 장일을 거치며 이후 단일로 접어드는 조건으로 과꽃의 개화생리에 가장 적합한 작형이다. 재배품종은 중생 또는 만생종을 이용한다.

(4) 전조 무가온재배
   생육초기는 고온 장일, 생육중기는 단일조건이 되므로 재배품종은 만생종을 이용하고 8월부터 출뢰기(꽃망울출현기)까지 전조를 계속한다.  

기타

초장의 길이에 따라 고성종, 중성종 및 왜성종으로 구분하고, 초형에 따라 직립성과 분지성으로 나누기도 한다.  직립성은 주지의 중간부위부터 위로 올라 가면서 곁가지가 나오는형이고 분지성은 주지의 밑부분에서 부터 곁가지가 나오는 형이다. 절화용 품종의 대부분은 직립성이며, 분지성인 것은 분화 및 화단용으로 이용하고 있다.  꽃잎의 형태에 따라 평상(平弁), 관상(管弁), 침상(針弁) 및 정자상(丁字弁)으로 분류하며 꽃의 모양에 따라 홑꽃, 반겹꽃 및 겹꽃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꽃부리의 형태와 꽃 모양의 조합방식에 따라 특별히 분류하기도 한다. 또한 품종은 다른 화훼류처럼 개화기의 조만에 따라 조생종, 중생중 및 만생종으로 구분하며 꽃의 색깔에 따라 적, 도, 자, 백, 황색종 등으로 구분한다.

 

키워드 태그 :

2 Comments
나무사랑 2013.12.23 00:22  
11월 2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32번째(윤년일 경우 333번째) 날이다.

[주요사건]
1095년 - 클레르몽 공의회 직후, 교황 우르바노 2세가 1차 십자군의 총사령관으로 아데마르 주교를 지명하다.
1520년 - 포르투갈의 탐험가 페르디난드 마젤란이 마젤란 해협을 통과하여 태평양에 진입하다.
1905년 - 아일랜드 독립당인 신페인당이 결성되다.
1912년 - 알바니아가 오스만 제국에게서 독립을 선언하다.
1943년 - 제2차 세계대전 : 루스벨트, 처칠, 스탈린이 이란의 테헤란에서 회담을 갖다. (테헤란 회담)
1944년 - 알바니아 파르티잔이 알바니아를 독일군으로부터 해방시키다.
1958년 - 차드, 가봉, 콩고공화국이 프랑스령 아프리카 내에서 연합 공화국을 창설하다.
1960년 - 모리타니가 프랑스로부터 독립하였다.
1964년 - 마리너 4호, 화성으로 발사되다.
1965년 - 필리핀의 대통령 페르디난드 마르코스가 베트남전에 미군을 도와 파병할 것을 선언하다.
1972년 - 프랑스에서 마지막 사형 집행이 행해지다.
1975년 - 동티모르가 포르투갈에게서 독립을 선언하다.
1989년 - 벨벳 혁명 :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이 일당 독재를 포기하다.
1991년 - 남오세티아가 그루지야에게서 독립을 선언하다.
1994년 - 노르웨이가 유럽연합 가입을 거부하다.
1997년 - 새로 결성된 코소보 자유군(KLA)이 처음으로 세르비아군과 교전하다.
2005년 - 부산 도시철도 3호선이 개통되었다.
나무사랑 2013.12.23 00:23  
[오늘 탄생한 주요 인물]
1563년 - 일본 센고쿠 시대 무장 호소카와 다다오키.
1757년 - 영국 화가, 시인 윌리엄 블레이크.
1811년 - 바이에른 국왕 막시밀리안 2세
1820년 - 독일의 경제학자 프리드리히 엥겔스.
1829년 - 러시아의 작곡가 겸 피아니스트 안톤 루빈시테인.
1925년 - 헝가리의 축구 선수, 축구 감독 보지크 요세프.
1969년 - 대한민국의 배우 유준상.
1972년 - 일본의 전 축구 선수 나나미 히로시.
1975년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신경현.
1979년 - 미국의 모델, 배우 다니엘 헤니.
1986년 - 대한민국의 가수 김은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