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사나무 : 5월 13일의 탄생화 - 나무사랑원예 나무사랑원예

Birthday flowers & Flower meanings
홈 > 쇼핑몰 > 탄생화 & 꽃말 > 5월
탄생화 & 꽃말

산사나무

5월 13일의 탄생화


학명&외국명 : Crataegus pinnatifida Bunge (영) Hawthorn, Thornapple (일) オオサンザシ (漢) 山査木
과명 : 장미과
꽃말 : 유일한 사랑
성격 : 모든 감성이 완전히 일치하는 사람. 당신이 찾는 연인은 그런 사람입니다. 조건따위는 신경 쓰지 않는 편. 실력파인 당신이 성공을 그저 기다리기만 하는 것은 어울리지 않습니다. 사랑의 매개자는 바로 당신 자신입니다.

낙엽활엽소교목으로 우리나라, 일본, 중국등에 자생하며 키 6m까지 자란다. 줄기는 회색을 띠며 어린줄기에는 1-2cm 길이의 가시가 있으며 가시가 없는 경우도 있다. 잎은 어긋나기로 달리고 깊게 갈라지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있고 표면은 진녹색으로 윤기가있다. 꽃은 4~5월에 백색 또는 담홍색으로 산방화서(=작은 꽃자루의 길이가 위로 갈수록 점점 짧아져 끝에 평평하게 꽃이 모여 피는 꽃차례[(散房花序)])로 핀다. 수분없이 무수정생식하며 열매 이과(=화탁이 발달하여 심피를 싼 핵과의 1종. 장미과, 배나무아과의 열매가 이에 해당함 [梨果, pome])는 지름 1.5cm에 백색 반점이 있으며 9-10월에 빨갛게 익는다. 꽃과 열매가 아름다워 정원수나 공원수로 좋으며 독립수로 식재하여도 좋다. 열매의 신맛을 이용하여 떡, 술, 정과 등 음식을 만드는데도 쓰이고 열매로 빚은 술을 산사주(山査酒)라 하여 약용주로 이용하고, 중국에서는 산사열매를 꼬치에 꿰어 시럽에 졸여 굳힌 탕후루(糖葫芦, 冰糖葫芦)의 주 재료로 이용한다. 열매, 根(근), 木材(목재), 莖葉(경엽), 종자를 약용으로 사용한다.


[박용환의 동의보감 건강스쿨中 인용]

<<고기와 생선을 연하게 만들어서 먹을 때 질감을 좋게 하는 약초들이 있는데 그중에 대표적인 것이 산사다. 송나라 시인 소동파는 닭요리를 할 때 산사를 넣으면 고기가 연해진다고 했다. 각종 고기를 조리할 때 기름기와 잡내를 제거하는 약초로도 많이 쓰인다.재미난 것은 이런 효능이 몸 안에도 작용해서 혈관 내의 기름기를 잡아 혈관청소부 역할을 한다는 점이다. 그 때문에 산사는 고혈압, 고지혈증을 치료하는 수준으로 연구되고 알려져 있다. 오죽하면 “서리 맞은 산사는 동맥경화도 뚫는다”는 말이 있을 정도일까.>>


[빙탕후루(冰糖葫芦[bīng táng hú lú])]

산사나무 열매를 엿기름, 설탕, 시럽등에 절인 빙탕후루(冰糖葫芦)는 북경 지역에서는 탕후루(湯胡油), 천진 지역에서는 탕두얼(唐斗爾), 안휘성 지역에서는 탕추(唐丘) 라 불린다 . 남송 시대 부터 전해 내려오는 중국의 전통 간식으로, 산사나무 열매를 대나무 꼬치에 꿰어 엿기름에 절여 굳혔으며 주로 겨울에 얼려 먹었으므로 빙탕후루(冰糖葫芦)라 하였다. 중국 북부 지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겨울 간식으로, 산사나무 열매로 만들며 , 엿기름이 얼면 달콤하고 새콤달콤한 맛이 난다. 산사나무 설탕절임은 송나라 때부터 시작되었으며 "연경수사기(燕景水史記)"에 따르면 빙탕후루(冰糖葫芦)는 산사나무 , 사과 , 포도 , 마, 호두 등의 열매를 대나무 꼬치에 꿰어 엿기름에 찍어 먹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산사나무속 주요 재배종 및 국내 분포종 특징]

산사나무
학명 : Crataegus pinnatifida Bunge
특징 : 자생종. 키 8m, 잎 길이 6~8cm, 폭 5~6cm, 깃꼴로 갈라진다. 열매 지름 1.5cm.
넓은잎산사(대실산사)
학명 : Crataegus pinnatifida var.major N.E.Brown
특징 : 자생.수입종. 키 6m, 잎 길이 6~10cm, 폭 6~8cm로 산사나무보다 크고 얕게 갈라지며 열매의 지름이 2.5cm로 산사나무에 비해 훨씬 크므로 "대실산사"로 부른다. 일본으로 유입경로는 알 수 없지만 일본 자생종이 아니며 우리나라에 자생하지만 일본에서 역 수입되었다. 중국명 산리홍(⼭⾥紅), 대산사(⼤⼭楂)이며 일본명은 실산사자(実⼭査⼦), 대실산사자(⼤実⼭査⼦)이다.
홍화산사(서양산사 ‘로제아 플로레 플레노’)
학명 : Crataegus x media 'Rosea Flore Pleno' (Syn : Crataegus x media ‘Punicea Flore Pleno’)
특징 : 도입종. 유럽종 산사나무 Crataegus monogyna와 Crataegus laevigata의 교잡종으로 1832년부터 유통되었다. 키 8m, 잎은 산사나무의 반정도 크기이고 꽃이 분홍 겹꽃으로 피며 적색 열매 지름 1cm 내외.
중국들산사나무(루비산사)
학명 : Crataegus cuneata Siebold & Zucc.
특징 : 중국원산, 일본도입종. 키 3m, 잎 길이 2~6cm, 폭 1~5cm로 산사나무보다 작고 얕게 갈라지며 열매의 지름이 1~1.2cm로 산사나무보다 약간 작거나 비슷하며 석세포 반점이 적고 자홍색을 띠며 잎이 상대적으로 작아 열매가 잘 보이므로 일본에서 루비산자시(ルビーサンザシ)라는 이름으로유통되며 이를 국내에 도입하며 "루비산사"라는 이름으로 유통되고있다. 중국명은 야산사(野⼭楂), 홍과자(红果⼦), 소엽산사(⼩叶⼭楂), 남산사(南⼭楂)이다.
미국산사
학명 : Crataegus scabrida Sarg.
특징 : 미국동부원산. 도입종. 키 5m, 잎 길이 3~8cm의 난형으로 갈라지지 않고 거친 톱니가 있으며 앞면 유모 밀생 뒷면 무모. 열매 지름 1cm 내외. 1950년대에 국내에 반입.
자생종 기타
좁은잎산사(Crataegus pinnatifida var. psilosa Schneider) : 잎, 화경 및 꽃차례에 털이 있고 잎의 열편이 좁다.
가새잎산사(Crataegus pinnatifida var. partida Nak.) : 잎이 깊게 갈라져 거의 완전한 깃모양겹잎이다.
털산사(Crataegus pinnatifida var. pubescens Nak.) : 잎 뒷면과 꽃자루에 밀모가 있다.
자작잎산사(Crataegus pinnatifida for. betulifolia Nak.) : 잎이 갈라지지 않는다.
이노리나무(Crataegus pinnatifida komarovii Sargent)



[생육환경]

사질양토로 토심이 깊고 비옥한 토양에서 잘 자라며 자갈 섞인 밭이나 개간지에서도 생육이 좋다. 내한성과 내조성은 강하나 내음성 약하다.


[번식]

실생 및 삽목.접목으로 번식.

실생 : 과육을 제거후 종자를 습기있는 모래와 묻어두거나 비닐주머니에 넣어 5℃전후의 저온에 저장하거나 직파한다. 직파하면 발아율이 더 좋다.

삽목 : 3-4월, 6-7월에 가지삽목한다.

접목 : 원예종 홍화산사는 접목으로 번식

키워드 태그 :

2 Comments
나무사랑 2013.12.19 21:03  
5월 1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33번째(윤년일 경우 134번째) 날이다.

[주요사건]
1981년 - 교황 요한 바오로 2세가 성 베드로 광장에서 한 터키인 과격파 이슬람교도 청년의 권총 저격을 받다.
1998년 - 중국어 인도네시아 향한 폭동은 인도네시아에 침입. 인도네시아 원주민 파괴하고 굽기 중국어 인도네시아어 소유의 등록 정보와 1,000 명 이상의 중국어 인도네시아를 죽이고 강간.
2001년 - 수원월드컵경기장이 개장하였다.
나무사랑 2013.12.19 21:03  
[오늘 탄생한 주요 인물]
1655년 - 244대 로마 교황 인노첸시오 13세.
1717년 - 오스트리아의 여제(女帝)·헝가리와 보헤미아의 여왕 마리아 테레지아.
1742년 - 오스트리아의 여대공 테셴 여공 마리아 크리스티나.
1792년 - 255대 로마 교황 비오 9세.
1840년 - 프랑스의 소설가 알퐁스 도데.
1882년 - 프랑스의 미술가 조르주 브라크.
1924년 - 이탈리아 정치학자 조반니 사르토리.
1937년 - 미국의 환상소설가·과학소설가 로저 젤라즈니.
1944년 - 대한민국의 배우 손숙.
1950년 -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스티비 원더
1951년 - 중국의 종교인, 파룬궁 창시자 리훙즈.
1964년 - 대한민국의 배우 배종옥.
1968년 - 대한민국의 배우 오대규.
1978년 - 일본의 성우 마지마 준지.
1981년 -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이지애.
1986년 - 대한민국의 골프선수 지은희.
1986년 - 영국의 영화배우 로버트 패틴슨.
1993년 - 대한민국의 가수 민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