헴록/독당근/독삼 : 3월 15일의 탄생화 - 나무사랑원예 나무사랑원예

Birthday flowers & Flower meanings
홈 > 쇼핑몰 > 탄생화 & 꽃말
탄생화 & 꽃말

헴록/독당근/독삼

3월 15일의 탄생화


학명&외국명 : Conium maculatum L. (영) Hemlock, Poison Hemlock
과명 : 미나리과
꽃말 : 죽음도 아깝지 않음
성격 : 사랑하는 사람을 위해서는 죽음도 마다하지 않을 정도로 한결같은 당신입니다.

이년초로 유럽, 아프리카, 북미원산으로  키 1.5~2.5m에 이르고 줄기는 녹색으로 털이 없고 줄기 중하부에 반문(斑紋)이 있다. 잎은 당근과 흡사하나 다 크다. 꽃은 산형화서이고 흰색을 띤 아주 작은 꽃잎을 지닌다. 과실은 난형(卵形)이고 그 크기는 약 3m내외이다. 이 식물은 우리나라에서도 잘자라고 중부 지역 및 서울지역에서도 잘 자란다. 2년째가 되면 1년생일 때와는 달리 줄기가 무척 커진다.  잎이 당근의 것과 같기는 하나 이 식물은 독(毒)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일본에서는 "독당근"이라고 하고 중국에서는 독삼(毒参)으로 부른다. 2년째 여름에 개화하고 결실(結實)이 끝나면 식물은 자연고사(枯死)하게 된다. 이 식물은 유럽지역에서는 옛적에 신경통의 진통약으로 흔히 쓰였고 천식(喘息), 기관지 카타르등에 진해(鎭海)를 목적으로 약용되어 왔었기 때문에 코니움초(Conii Herba)라 하였다. 이 식물의 독성분인 알카로이드 coniine등은 독성이 무척 강하기 때문에 이 식물의 엑기스를 사형수(死刑囚)의 처형약으로도 이용한 적이 있다.

소크라테스도 옥중에서 이 약을 마시고 그 생애를 마감하였는데 이 때의 상황이 오늘날에 전해오고 있어 coniine의 약리의 일면을 알려주고 있다. 우리말로 하면 사약이 되는 것인데 이 사약을 사형집행지로부터 받아서 태연히 마셨을 때 전옥은 소크라테스에게 묻기를 발이 차오느냐고 하자 소크라테스는 태연하게 발끝에서부터 점점 차가워지고 있고 점점 가슴쪽으로 다가오고 있다고 대답했다. 전옥은 다시 이제 그 차가운 기가 가슴에 이르렀느냐고 물었을 때 이제 가슴마저 차가워지는 것 같다고 말을 마친 뒤 그 생애의 막을 내렸다고 한다. 이 햄록(전초)에는 Alkaloid가 0.01∼0.04%들어 있고 주성분은 conhydrine등이 들어 있다.

키워드 태그 : , , ,

2 Comments
나무사랑 2013.12.15 21:14  
3월 1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74번째(윤년일 경우 75번째) 날이다.

[주요사건]
기원전 44년 -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폼페이우스 회랑에서 브루투스 일당에게 살해당하다.
221년 - 유비가 스스로를 정당한 한나라의 정통 계승자임을 주장하며 스스로 촉한의 황제에 즉위하다.
1493년 - 크리스토퍼 콜럼버스가 아메리카로의 1차 항해를 마치고 스페인으로 돌아옴.
1545년 - 첫 트리엔트 공의회 개최.
1776년 - 사우스캐롤라이나 주가 아메리카 식민지 중 처음으로 대영 제국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하고 정부를 세움.
1820년 - 메인 주가 23번째 미국의 주가 되다.
1892년 - 영국의 축구 클럽 리버풀 FC 창단.
1903년 - 대한제국 광무황제가 징병제 실시를 예고한다.
1960년 - 대한민국 3·15 부정선거와 이로 인해 마산에서 시위가 발생.
1970년 - 핵 확산 금지 조약 인준.
2003년 - 후진타오가 중화인민공화국의 주석에 취임.
2007년 - 보잉 사의 보잉 747-400 여객기 생산 중단.
나무사랑 2013.12.15 21:14  
[오늘 탄생한 주요 인물]
1767년 - 미국의 제 7대 대통령 앤드루 잭슨.
1809년 - 라이베리아의 초대 대통령 조지프 젠킨스 로버츠.
1904년 - 대한민국의 순국열사 유관순.
1942년 - 대한민국의 소설가 김원일.
1948년 - 브라질의 외교관 세르지우 비에이라 데 멜루.
1951년 - 대한민국의 디자이너 권영걸.
1962년 - 독일의 축구 심판 마르쿠스 메르크.
1973년 - 대한민국의 영화배우 이정재.
1974년 - 대한민국의 가수 김동률.
1975년 - 미국의 가수 윌 아이 엠.
1975년 - 미국의 배우 에바 롱고리아.
1976년 - 대한민국의 탤런트 이민우.
1977년 - 오스트레일리아의 야구선수 에이드리언 번사이드.
1978년 - 대한민국의 희극인 정형돈.
1980년 - 대한민국의 배우 강예원.
1984년 - 대한민국의 배우 이윤지.
1985년 - 대한민국의 배우 이다희.